유리
한인 (작곡가, 무직)
나는 왜 음지에서 남아
있는가? (자명한 설명)
유감스럽게도 나는 인간이다. 그게
오늘은 반박 못할 사실.
아주 유감스럽게.
아주, 아
주 유감스럽게. 그런데,
내가 사실 반박하려고
하지도 않는다. 지금은
어찌 할 수 없
이 이 사실을 안타깝게
여기고 기억해야 하는데, 그러면서도
이 사실을 고려에 넣거
나 존중히 여길 마음은
없다. 그게 바로 내가 음지에서
남으려는 이유다. 다음은, 별
다른 만족감을 주지도 않는, 설명되지도
않는 몇 개의 단편적인 주장을
펴보겠다. 소
위 인간인 나는, 인간인
고로 음지에서 남겠다는
주장만큼은, 자명하고
투명한 주장이
다.
그 주장에 밑에다가
몇 개의 사족 (蛇足)을 덧붙여보겠다:
잘 알려져 있듯이, 인간은
바로 사회적인 동물이다.
즉, 모든 것을 혼자 다 할 수
없
는,
독립적인 나 홀로 생활을
할 수 없는 존재다. 그러기에, 자신의
온갖 부족한 면들
을 여러 형태의 "의족"
(義足)
등의 보충 수단으로
채우거나
고쳐야 한다는 것이다.
거기까지는 별 문제는 없지요? 그러나
문제는, "의족"의 역할을 보통 싫든 좋든 다른
사람들이 맡아야 한다는
것이 "사회 생활"을 이룬다는 사실이다.
조금 더 "어려운"
말
로 하자면, 부족한, 보편적이지 못한 면들을
우리가 보통 "전문"이나 "전공"으로 부린
다는 것이지요. 그것도
문제로 안
보인다면 계속하겠다:
사람마다 수많은 타인들을
자신의 출세라는 "신성한
업무"를 위해서 이용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용은, 순전
히 동물적인 생활 방식이다. 어디를
가나, 무엇을 하나,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을
위한
"건재" (建材)의 노릇을 하는 꼴이다.
아 참, 말해도 너무 했다.
그렇게 단순하고 추악한
일은 물론 아니다. 그러한 말을 늘
어놓다가, "하나님의
모습을 가장 잘 닮은 동물을
왜 비방하느냐"는
욕을 들을지도 모
른다. 아이고, 정색을
할 때가 왔군! 사실,
사회 구조가 발전·복합화되다보면,
전문화
는
"직업"이라는
구체적인 형태를 취하고,
"직업"의 테두리
안에서도
온갖 독립적인
공간들과 아늑한 구석들과
자그마한 구조들이 생긴다. 그러다가
각종의 "직업적"
패거
리들 - 즉, 인간의 무리들
-이 만들어진다. 그 구성원들이 자신들을
위해서 남을 이용
할 수 있게끔 자신들의
활동 방법을 조정한다. 겉으로 보기에는
복잡해 보이지만, 본
질상 여전히 원시적인 구조일
뿐이다. 남 (또는 다른 패거리)을 자신의 욕구 만족과
출세를 위해서 이용하겠다는
욕망이 기초이기 때문이다. "직업"이라는 것은 이권을 챙
기고 남과 남이 생산하는
가치들을 이용하는 도구일
뿐이다.
우리 시대는, "직업"의 패거리적인 분리 상
대단히 "발전된"
시대다.
"직업"들의
테두
리가 작아지지만, 남들을
이용하지 못할 정도로 아주 작아져
버리는 것은 물론 아니
다.
모두들 돈이라는 형태로
남으로부터 "의족"을 구하려고 뛰는 것이다.
본인이 골치
아프게끔 개인 차원에서
뛸 수도 있고, "국가"라는 "국민"의 개인적 부족함의 대리
만
족 기계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제는 결론. 나는 내 체질상
무리나 패거리에 들어갈
수도 없고, 그들에게
이용 가치
를 제공할 수도 없다. 내가 내면적으로만
존재하려고 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더
그렇다. "음악계"
등과 같은 패거리적
공간들에서 안 잡혀 먹힌
것이 이미 없다. 자리
마다 남을 이용하고 남에게
이용당하는 '열전" (熱戰)이 벌어진다.
나는 물론 내 몫을
챙기려고 그 더러운 대야에
낯짝을 내밀 생각은 없다. 현재의
"음악"은 패거리끼리만
필요한 "고전적"
장르와,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대중" 장르로 나누어져
있다.
나는 패거리가 생각하는 "전문인"이 물론 아니다. 누차 설명을 안 해도 알
만한 대목
이지요? 음악원에서의
경험과 "작곡가 협회"
(실제로 말하자면, 작곡가의
패거리)를
다루어 본 경험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리고 패거리의
상업적인 부분에서 "웨이터"로 "
아르바이트"하기란 아무래도
너무 구역질나는 일이다. 내가 언제
돼지들을 먹여주는
일을 하겠다는 서약을 한
적이 있었나? 별로 곱게 안
들리지요? 어쨌든
결론:
오늘은 내가 이미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내일은
그것보다 덜 존재할 것이다.
내일 모
레는, "의족"을 달고
다니시는 여러분들의 머리
속에서 내 이름이 잊어지게끔
하겠다.
그렇게 하면서, 음지,
즉 그늘 아래에서 남는 것이다.
누구의 그늘이냐고요?
물론 내
자신의 그늘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