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orean (English, Japanese) |
![]() |
![]() |
아브 폰트 사용법들어가는 말현재까지 개발된 아브철자(Ath)를 위한 폰트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공식적"인 것은 애니를 실제 개발했던 나인라이브즈에서 만든 것으로써, 애니를 제작할 때 실제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폰트는 무료로 배포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기서는 취급하지 않겠다. 대신, 여러 팬들이 만들어 무료로 배포하는 폰트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그리고, 여기서는 이 글을 읽는 사람은 일어에 능숙하지 못하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본 사이트에서 사용된 아브 폰트는 CAT1의 공방에서 얻은 폰트를 페인트샵을 이용해서 그림화일로 바꾼 것이다. 아쉽게도 이 사이트는 최근 문을 닫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코너에서는 BarMark 2000에서 얻은 폰트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폰트 다운로드일어가 가능한 분은 BarMark 2000 의 자작폰트 자료실을 통해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일어를 못하는 분은 JPASS의 일한번역 사이트으로 가서 위의 링크를 복사해 넣으면 번역된 내용을 볼 수 있다. 일단 이 페이지에 이동하면, 하단부에 실제 자료실로 향하는 링크를 클릭한다. 크기가 KB 로 명시되어 있는 화일이 두개가 있는데, 두번째 것이 한종류의 폰트를 더 가지고 있다는 점 외에는 차이가 없다. ath_backup_barmark... 라고 이름붙은 화일, 즉 두번째 링크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한다. 폰트 설치EXE 확장자가 붙은 실행화일이지만 일어 프로그램으로 팩이 되어 있어서, 실행시키면 메뉴가 깨져보이므로 아래 그림에서처럼 직접 WinRAR 등의 압축 프로그램으로 불러들인다. 화일을 압축 프로그램으로 불러들였으면, 다음과 같이 TTF 화일만 추출하도록 한다. 추출하는 디렉토리는 아무데라도 상관없지만 다음의 설치과정을 위해 어느 디렉토리인지 잘 기억해 두자. (다른 화일들은 일어로 된 이름때문에 한국어를 사용하는 윈도즈에서는 깔리지 않는다.) TTF 화일을 추출한 디렉토리의 윈도우를 열어둔 상태에서 제어판의 폰트 윈도우를 연 다음 추출했던 TTF 화일들을 폰트 윈도우로 끌어넣으면 (Dragging) 자동으로 폰트들이 설치된다. 설치 확인하기폰트들이 제대로 설치되었는가 확인하는 방법은 TrueType 폰트를 지원하는 문서작성기나 그래픽 편집 프로그램을 열어서 폰트 종류를 확인하면 된다. 다음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와 페인트샵에서 아브폰트를 확인하는 그림이다. 여기까지 문제가 없었으면 아브폰트가 성공적으로 끝난 것이다. 위 그림에서 AthFontCentry와 AthFontGothic 은 다른 곳에서 얻은 폰트이므로 무시하기 바란다. 아브문자(Ath)의 입력실제로 아브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보드의 어떤 키가 어느 문자와 대응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다음은 각 키와 아브문자 그리고 해당 알파벳을 나열한 표이다. 입력시 대소문자를 구별한다는 점에 유의하자. 0-9 의 숫자는 키보드의 0-9 키를 선택하면 된다.
이제까지 설치한 폰트는 모두 TrueType 폰트이므로 크기나 색상, 그리고 문서나 그래픽 편집기에서 제공하는 각종 폰트 데커레이션 등을 모두 적용시킬 수 있다. 다음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와 페인트샵에서의 아브폰트 활용예이다. 기타여기서는 윈도즈에서 설치하는 방법만 설명했지만, 리눅스나 BSD 등의 시스템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최근 X-Windows 시스템들은 윈도즈의 폰트를 그대로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OpenOffice나 Gimp 등에서도 지금 윈도즈에서 사용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가능하다. X-Windows 에서의 설치방법은 다음기회로 미룬다. 그리고, LaTeX용 메타폰트도 구할 수 있는데 (LaTeX가 뭔지 모르는 분들은 십중팔구 알 필요없음), 자세한 내용은 X-Windows 를 설명할 때 같이 다루기로 하겠다. 설치나 사용시 오류가 생기거나 기타 궁금한 내용은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기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