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Saudec Isa Dadé - 성계로 가는 문

근원 29 일족 II

서(백호)

losaich Losaich [losɛʃ, 로세슈] 奎(규: 백호의 꼬리) [とかき, 토카키]
奎宿 혹은 斗搔(두소)き星 [토카키보시].
도시선의 통신망 보수 및 관리를 담당하며 대규모 내장 공사 등을 지휘. 푸른 빛이 가미된 다갈색의 홍채, "로세슈의 눈"을 가징으로 함. 신념에 충실하며 강인한 면도 가지고 있다. 군인보다는 교역자로서 활약.
tlaimh 1 Tlaimh [tlɛf, 틀레프] 婁(루: 백호의 몸체) [たたら, 타타라]
婁宿 [타타라보시].
광물자원의 전반적 관리를 담당. 소행성이나 지상세계로부터 광물을 채취, 혹은 수입한 다음 이를 정제하여 보급하고 수출도 한다. 손톱의 중앙에 붉은 점이 은은하게 드러나는데, 이것이 가징 "틀레프의 별"이다. 유인혹성이 아닌 소혹성대를 영지로 얻는 것도 선호함.
sosïéc Sosïéc [sosie, 소시에] 胃(위: 백호의 몸체) [こきえ, 코키에]
胃宿 [코키에보시]. [코키헤보시]라고도 한다.
무기물 재활용 담당. 폐쇄된 공간에서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야 했던 도시선 초기에는 이들의 역할이 상당했다. 후에는 군계보다는 교역자로 진출이 활발했다. 가징은 "소시에의 머리"로 불리는 광택이 흐르는 머리카락.
spaurh 2 Spaurh [spɔʀ, 스포르] 昴(묘: 백호의 몸체) [すばる, 수바루]
昴 를 훈(訓)에 따라 읽으면 [수바루]가 된다.
항법을 담당했던 아브리얼과 나란히 큰 발언권을 가졌던 일족. 엔진을 담당하는 기술 계통의 임무를 담당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이 일족의 수장이 도시선의 부왕을 맡을 정도로 강력한 영향력을 가졌다. 가징은 "스포르의 붉은 눈동자". 아브리얼 일족에 대한 대항심이 강하면서도, 동시에 황실에 대한 충성심도 대단한 일족. 지휘관에 적합해서 스포르 일가의 지휘하에서 군생활을 하는 것이 행운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직속부하일 경우는 그보다 불행한 일이 없다.
aimenyrh 3 Aimenyrh [ɛmənyʀ, 에머뉘르] 畢(필: 백호의 몸체) [あめふり, 아메후리]
畢宿 혹은 雨降(우강)り星 [아메후리보시].
화학과 의약을 담당. 지상세계와의 거래에서 의약뿐만 아니라 독약도 취급하여 악명이 높음. 머리카락 끝에서부터 탈색이 일어나는 "에머뉘르의 머리카락"이 가징. 전통을 중시하고 매사에 완벽을 기하려는 기질이 있음. 이들이 건설한 시설물은 기능성을 무시한 복잡한 미로같은 느낌을 주지만, 통로나 기타 배치가 계획에 따라 세심하게 결정되어 있고, 전체를 감상하지 않고는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음.
snoech Snoech [snœʃ, 스눼슈] 觜(자: 백호의 머리) [とろき, 토로키]
觜宿 [토로키보시].
격납고 담당 및 탑재정 정비. 성계군의 주병기 개량, 신무기 개발 등을 수행. 은색의 반점이 있는 홍채 "스눼슈의 별"이 가징. 탑재기의 정비뿐만 아니라 조종에도 능통해서 조종사들을 깔보는 경향도 갖고 있었다.
sarrych Sarrych [saryʃ, 사뤼슈] 參(삼: 백호의 앞발) [からすき, 카라수키]
參宿 [카라수키보시]. 당서성(唐鋤星)을 의미.
제어기관 수리 및 관리. 에프 일족과 더불어 도시선 내의 각종 설치 업무를 담당. 책임감이 강한 반면, 자신의 기준을 타인에 강요하는 경향이 있음. 제국 최대의 반란 지무류아의 난의 원인도 이 일족 중 한 제후의 도덕기준이 지상세계에 강요되면서였다. 이것에 대한 불만이 결국 제국에 대한 반란으로 이어진 것이었다.

 

남(주작)

tlich 4 Tlich [tliʃ, 틀리슈] 井(정: 주작의 머리) [ちちり, 치치리]
井宿 [치치리보시]에서 유래.
각종 연료의 생산과 보급을 담당. 방약무인 형의 인물이 많고 화설이 뛰어나다. 제국창설 후 다른 일족들이 직업과의 연관성을 상실해 간 것과는 반대로 이들은 현 직업을 그대로 유지, 반물질 제조공장에 관여.
lamcoemec Lamcoemec [lamkœm, 람퀘므] 鬼(귀: 주작의 눈) [たまほめ, 타마호메]
鬼宿 [타마호메보시]. 보통 魂緖(혼서)の星 [타마호노호시]로 불린다.
수경농장 및 식육 담당. 명랑하고 낙천적인 성격. 군인으로보다는 교역자로 성공하며 많은 부를 쌓음.
duneucec Duneucec [dunøk, 두뇌크] 柳(류: 주작의 부리) [ぬりこ, 누리코]
柳宿 [누리코보시].
의복 등의 일상품을 생산하는 도시선 내의 "제 2 공장"을 담당. 선내 뿐만 아니라 선외 교역에도 간여. 이질문화를 존중하며, 회화, 조각, 음악 등에 많은 관심을 보임.
cotponic Cotponic [kotponi, 코트포니] 星(성: 주작의 목,심장) [ほとほり, 호토호리]
星宿 [호토호리보시]. [호토오리보시]가 더 일반적이다.
도시선의 주연료는 유아논이지만 보조연료로 핵융합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었는데, 코트포니 일족이 이를 담당했다. 많은 과학자와 기술자를 배출. 인문과학, 예술 계통의 인물도 적지 않음.
lineucec Lineucec [linøk, 리뇌크] 張(장: 주작의 위장) [ちりこ, 치리코]
張宿 [치리코보시].
추진제 및 핵융합연료의 관리했던 기술계 일족으로 인구의 증가에 따른 법률의 필요성 등장에 따라 법률 담당으로 결정됨. 논리적이며 이학에 밝아 교역으로도 성공한 이들이 많음.
larych Larych [laryʃ, 라뤼슈] 翼(익: 주작의 날개) [たすき, 타수키]
翼宿 [타수키보시].
탑재정, 응집광포 및 각종 병기를 생산했던 "제 3 공장"을 담당. 제국이 안정되면서 병기산업 이외의 중공업으로도 진출. 손등에 마름모꼴의 문양이 있는데 이를 "라뤼슈의 문장"이라 한다.
beussaicec Beussaicec [bøsɛk, 뵈세크] 軫(진: 주작의 꼬리) [みつかけ, 미추카케]
軫宿 [미추카케보시].
일반 사무 및 창고 관리. 초기 성계군의 주계과 담당. 사업자금을 융자해 주는 등의 금융 산업을 이끌었다. 새로 영지를 받은 귀족은 뵈세크 일족 출신의 가신을 얻으려 힘쓰게 된다.
주:
1 원문에는 m(m)과 h(h) 사이에 f(f)가 들어있다. 아마도 오류인 듯.
2 책에는 p(p) 대신에 eu(eu) 가 쓰였다. 이 경우를 종종 볼 수가 있는데, 아마도 저자의 혼동이거나 출판과정의 오류가 아닌가 한다.
3 책에서는 n(n) 대신 m(m)이 사용되었다. 출판상의 오류로 보인다.
4 책에는 c(c) 대신에 r(r) 가 쓰였다. 출판과정의 오류인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성계의 전기 독본의 자료를 번역 및 요약한 것이며, 28 방위에 해당하는 일본어 뜻은 BIGLOBE Search Dictionary Page에서 찾았습니다.

 

[Top]
Created: 2002.05.30 Updated: 2003.07.25

저작권 공지사항 (Copyright No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