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어의 기초발음
외국어를 제대로 정확하게 발음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한국어를 쓰는 이들에게는
[f], [v], [θ], [r] 등의 발음은 상당히 큰 난관이다. 아브어를 발음하는 데는
그냥 외국어에 비해 한가지 더 큰 관문이 있다. 일본어로 표기되고 그들 식으로 읽어지는
것을 재차 한글로 옮겨야 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로 '아브리얼'을 보자. 통상 한국팬들에게는 아브리얼로 통칭되지만,
일어로는 애니에서처럼 '아부리아루'라고 표기된다. 하지만, 이것을 저자가 제시한 정식
로마자 표기에 따라 영문 알파벳으로 옮기면, Ablïarsec이
된다. 끝에 오는 ec는 묵음이다. 따라서, 원 발음에 가까운 한글의
표기는 '아블리아르스'가 될 것이다. 좀더 간단한 예로, '아브'의 경우, 일어식 읽기는
ア-ヴ(아-부)가 된다. b 뒤에 h가 올 때는
합쳐서 [v]로 발음해야 한다. 따라서, [a-v]가 된다.
이상과 같이, 우리가 아브어를 어떻게 발음하는가 하는데는 명확한 정답을 말하기
어렵다. 모리오카씨는 몇몇 발음은 일어에 없는 것이라고 분명히 밝히면서 로마자 표기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표준의 로마자의 발음을 따르도록 한다. 하지만 이미
국내 팬들에게 널리 알려져 굳어진 단어들의 경우 그것을 그대로 따르기로 하며, 동시에
올바른 발음을 병기하도록 하겠다.
인공언어라고 하면 톨킨의 엘프어(Quenya)를 떠올리는 분들이 있을 것이다. 반지의
제왕(Lord of the Rings)으로 유명한 톨킨은 그의 작품들을 통해 여러가지 엘프어를
소개한다. 그의 엘프어는 단순히 한가지의 언어가 아니라 고대 엘프어, 꿴야,
신다린, 등 연관되어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언어로 되어 있다. 엘프어
예문이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은 반지의 제왕이다. 그리고 간단한 발음법과 고대
인물들의 엘프식 철자는 실마릴리온 (Silmarillion)에 부록으로 소개되어 있다.
이 엘프어와 모리오카 씨의 아브어는 같은 인공언어임에도 많은 차이점이 있다. 가장
큰 차이점은 톨킨의 엘프어가 시에 가까운 문학성과 함께, 마치 노래를 듣는 듯한
아름다운 발음이 돋보이는 반면, 아브어는 보다 기능적인 완벽성에 중점을 둔 듯이
보인다. 또 한가지, 엘프어의 기초가 핀란드어, 즉 서구언어의 영향을 받은 반면,
아브어는 일어(우랄 알타이어)에서의 특징들이 많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자, 그럼 아브어의 기초적 발음에 대해 살펴보자. 애니에서나 다른 홈페이지에서
아브철자(Ath)를 발견했을때, 가장 먼저 할 일은 [아브어 소개]페이지를 참조하여
그에 해당하는 로마자 표기를 해독해내는 것이다. 일단 로마자로 해독을 하고 나면, 그
발음규칙에 따라 묵음과 변칙을 적용하여 제대로 된 발음을 할 수 있다. 찾아낸 단어의
뜻은 아브어 사전을 찾으면 된다. (사전은 [링크]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아브어를 읽을
때는 크게 세가지만 주의하면 된다. 그 첫째가 묵음이고, 둘째가 h의 변칙활용, 세째가 복모음이다.
먼저 묵음규칙을 살펴보자.
-
c 혹은 ec가 단어의 맨 끝에 올 때는
거의 묵음화한다. 즉, Ghintec, Saudec(문), Snaic(작위) 는 각각,
[ʒint, 진트], [sɔd, 소드], [snɛ, 스네] 라고 발음한다.
-
e도 단어의 마지막에 위치할 경우 묵음화한다. 즉, sure(오다) 는 [sur, 수르] 라고 읽는다.
-
r이 단어의 마지막에 위치할 경우, 그 바로 앞의 글자가
자음인 경우 r은 묵음화한다. 예로, lamr(lamh의 소유격)은 [lam, 람] 이라고
읽는다.
둘째로, h의 경우, 앞에 어떤 자음이 오느냐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bh |
[v] |
Bhoclanh [voklaɲ, 보클란느] 응집광포.
|
ch |
[ʃ] |
Cheüass [ʃewas, 쇠와스] 천상장.
|
dh |
[ð] |
dadh [dað, 다드] 성계, 우주. 영어의 유성 th발음.
(they, leather, weather)
|
gh |
[ʒ] |
Ghintec [ʒint, 진트]
|
mh, ph |
[f] |
Lamhirh [lafiʀ, 라피르]
|
nh |
[ɲ] |
nhainec [ɲɛn, 넨], 혹성. * 앞에 "은-"이 있는 듯이
혀를 입천정에 먼저 붙인다. nh가 단어의 처음이나 중간에 올
경우의 발음은 n과 거의 흡사하다. 하지만 nh가 단어의 중간이나 마지막에 올 경우의 발음은 불어의
gn 의 발음과 비슷하여, [-ㄴ녀]나 [-ㄴ뉴]가 살짝 붙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dusanh의 발음은 [dusaɲ, 두산-녀]가 된다. 일어에 없는
발음인 관계로 국내에는 [두사뉴]로 알려져 있다.
|
rh |
[ʀ] |
영어에서의 "door" [도-어ㄹ]와는 달리 스페인어의 "señor" [세뇨르] 처럼 [르]
발음을 확실하게 해 준다.
|
th |
[θ] |
영어의 무성음 th발음. (thank, theme, thunder)
|
|
마지막으로, 복모음을 살펴보자. Hyundai를 현다이라 하지 않고 현대라 하는
것처럼, 그 원칙을 따라주면 된다. 단, ï, ü처럼 우믈라우트나 엑센트가 붙은 것은 제대로 발음해준다.
ai |
[ɛ] |
bénaic [benɛ, 베네] 수기생. gairh [gɛʀ, 게-ㄹ] 돌격함.
|
au |
[ɔ] |
Spaurh [spɔʀ, 스포르] 스폴.
|
eu |
[ø] |
dreuc [drø, 드뢰-] 백작. speutec [spøt, 스푀트] 핵융합탄. 이 발음은 우리말이나
일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도류-]와 [수퓨-토]로 표기되어 있다. 이것을 가장
가깝게 발음하는 방법은 입을 입을 [오] 발음시의 모양으로 한 상태에서 [에] 발음을
내려고 하는 것이다.
|
oe |
[œ] |
gloegecoth [glœgəcoθ, 글뤠거코스]
전개. 이 발음도 우리말이나 일어에 없다. 원문에는 [구레게코수]로
표기되어 있다. 우리말의 [웨]에 가깝지만, 그보다는 입을 [우] 발음을 할 때와 같이
한 다음, [에] 발음을 시도하면 되겠다. 위의 [ø]보다 조금 큰 발음이다.
|
ï,ü,ÿ |
[i,u,y] |
loüass [lowas, 로와스] 십상장. ïodh [joð, 요드] 반물질제조공장. ¨(우믈라우트)가
없는 경우와 발음이 거의 없지만, 뒤에 모음이 올 때는 합쳐 하나로 발음된다. ÿ의 경우 단독으로 쓰일 때는 [ɥ, 우]로 y [y, 위]와 확연히 구분되는데 주의.
|
|
이 이외의 발음은 로마자를 그대로 따라도 별 착오가 없을 것이다.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
중에서 몇가지를 제시한다.
       |
caricec |
[karik, 카리크] |
ec는 묵음. 함선에 탑제된 단정을 의미.
|
       |
cédlairh |
[kedlɛʀ, 케들레르]
|
원서나 애니에는 케도렐로 되어 있다. 평면우주상의 거리단위.
|
       |
daïsairé |
[daisɛre, 다이세레] |
aï는 [ai]로, ai는 [ɛ]로
발음하는데 주의. 닻(ïsaire)을 수거하다(da) 라는 뜻.
|
          |
Lacmhacarh |
[lakfakaʀ, 락파카르] |
mh가 [f]로 발음이 난다.
|
        |
üethdagh |
[wəθdaʒ, 웨스다쥬] |
100미터 (üeth = 104, dagh = 1cm). üe는 합쳐서 [웨]로 발음.
끝의 gh는 진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ʒ]로 발음.
|
           |
gaftonochec |
[gaftonoʃ, 가프토노슈] |
제국의 문장에 있는 머리 여덟의 상상속의 용. ch는 [ʃ]로
발음되며, 끝의 ec는 역시 묵음.
|
|
자, 그럼 다음 화면의 아브어는 무슨 뜻일까? 아브어 소개 페이지를 참고하여
직접 확인해 보기 바란다.

[Top]
|
Created: 2002.05.01 |
Updated: 2003.07.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