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Saudec Isa Dadé - 성계로 가는 문

애니메이션 성계의 전기 1 속의 아브어

위의 애니메이션 성계의 문장 속의 아브어와 같은 형식으로 이 글을 꾸몄다. 하지만 여기서는 명사변화의 좀더 복잡한 형태와 동사, 형용사, 조사 등의 활용에 대한 내용에 중점을 두고 소개한다. 앞의 글에서 언급했다시피, 아브어를 알기 위해서는 단어의 어미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에 유의하면서 읽어주기 바란다. 이 글을 읽는 이는 아브의 알파벳에 어느 정도 익숙하다고 가정하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로마자 표기만을 제시한다.

먼저 제목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glac dadr

glac dadr [gla dad, 글라 다드]. 성계의(dadr) 깃발(glac)이라는 뜻. dadr의 원형은 dadh [dað]. 제 2형의 명사이다. 참고로 glagac [glaga, 글라가]는 기함(flagship)을 뜻한다. 이것은 glac에 "...을 대규모로 하는 장소"라는 뜻을 가진 ga 라는 접미사가 붙어 만들어진 단어이다.

그러면 각회의 제목을 살펴보자.

제목 설명
1 Adaüssoth [adausoθ, 아다우소스] 재회.
2 Cfazaitec rainibr [kfazɛt rɛnib, 크파제트 레니브] 환염 작전. rainibr의 원형은 rainibh.
3 Gairh Basrogrh [gɛʀ basroiʀ, 게르 바스로이르] 돌격함 바스로일. 왜 이것을 바스로일이라고 읽는지 명확하지 않다. 때때로 g 가 자음앞에 올때 [i]로 발음나는 경우가 있는데 아마도 이런 경우의 하나가 아닌가 한다. 다른 예로 agth ([aiθ, 아이스] 변방국)이 있다.
4 Fitlachoth [fitlaʃoθ, 피틀라쇼스] 초진. tlachoth가 "전투" 라는 뜻이다. slachoth 역시 "전투" 라는 뜻을 갖고 있는데 tlachoth 와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slachoth gothlautr가 "고슬로스의 전투" 라는 것을 상기하자. 두 경우다 오자라고 보기에는 어려울 정도로 여러번 등장한다.
5 Lafaicec gnana [lafɛk gnana, 라페크 그나나]화려한 광기. Lafaicec이 "광기"를 뜻한다. gnana는 "화려한"이라는 형용사. 대부분의 형용사가 -a의 형태를 띄고 있다. 그리고, 동사나 명사가 형용사화 할때도, -a의 형태가 된다. gnac [gna, 그나]가 "꽃", 혹은 "화려한 물건" 이라는 뜻의 명사.
6 Gycec loborhotr [gyk loboʀot, 귀크 로보로트]조의의 만찬. Gycec이 만찬. loborotr은 "조의의"라는 뜻으로 원형은 loborhoth. -hoth는 "...하는 것" 혹은 "...하는 사람"이라는 명사화 접미사. 앞에 오는 자음에 따라 -foth, -loth, -soth, -zoth 등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7 Dicecoth dacr gaimr [dikəkoθ dak gɛm, 디커코스 다크 게므]어둠 속의 도망. dicecoth는 문장 편의 "둘망의 도망"에서 본 digecauth와 같은 단어. dach [daʃ, 다슈] 는 "...의 내부", gaimh [gɛf, 게프]는 "어둠"이라는 뜻.
8 Goïc Raïchacarr [goi raiʃakar, 고이 라이샤카르] 결전 전야. goïc은 무엇을 하기 전의 대기시간이라는 뜻. "전날밤"이라는 뜻은 없지만, 애니에는 추가되어 있다. raïchacarh는 문장편의 스하그노프 전투 등에서 등장했던 단어. 굳이 "전야"라는 뜻을 만들려면 Goïraïc라 하면 된다.
9 Tlachoth basrogrr [tlaʃoθ basroir, 틀라쇼스 바스로이르] 바스로일의 전투. 위의 fitlachoth를 참고하기 바란다.
10 Cothec Dagnéna [koθ dagnena, 코스 다그네나]흐르는 별. dagnéna 는 동사 dagnéne 가 형용사한 형태. (동사의 분사형이라 한다) 형용사로 바뀌면서 "...하는"이라는 뜻이 되었다.
11 Ïucrabh bïara [jukrav bjara, 유크라브 비아라]작열하는 전장. ïucrabh는 문장편에서 ïucrabé (전장으로) 의 형태로 선보였던 단어. bïara 는 위의 dagnéna 와 마찬가지로 동사가 형용사한 형태.
12 Raïchacarh üécr
sauder apticer
[raiʃakaʀ wek sɔdər aptikər, 라이샤카르 웨크 소더ㄹ 아프티커ㄹ] 아프틱 문 전투. 문장 편의 스파그노프 문 문 전투와 동일한 구조.
13 Claith Sitonr [klɛθ siton, 클레스 시톤] claith 는 "형태"라는 뜻의 명사. 그리고, sitonr 는 "인연" 혹은 "유대"에 가까운 뜻. 번역하기가 애매하지만 그냥 "인연" 이라고 하든지, 혹은 "유대라는 것" 이라 번역해도 될 듯하다.

그러면 1편에 등장했던 기타 아브어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전기 1편의 내용이 대부분 우주전투에 관한 것이라 아브어가 등장하는 장면들도 함내 스크린에 잡힌 것들이 많다.

장면 설명
drauch daimr [drɔʃ dɛm, 드로슈 뎀] 전파(daimh) 통신. drauch보다는 droch가 많이 쓰인다. 통신참모를 drochoth (droch + hoth)라고 한다. 접미사 -hoth에 대한 내용은 위에서 설명하였다. 또, 통신사를 drochiac이라 한다.
 
애니에는 나오지 않지만 전파충을 daimbusec [dɛmbus, 뎀부스]라 한다. 그리고, 개인을 식별하는 전파문을 daimhath [dɛfaθ, 데파스]라 한다.
큰 글씨는 Faicec Lasiser [fɛk lasisər, 페크 라시서ㄹ] 라시스 왕국. 작은 글씨는 Saudec üairér [wɛrer, 웨레ㄹ] 웨레 문. 원형은 üairéc [wɛre, 웨레].
atosrÿac bomüass [atosrya bomwas, 아토스뤼아 봄와스] 아토스류아 백상장. bomoüass가 정확한 단어일 듯하다. 백(bomo)에 장(üass)이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 천상장은 cheüass [ʃewas, 쉐와스], 십상장은 loüass [lowas, 로와스]라 한다. 또, üass casalér [was kasaler, 와스 카살레ㄹ]는 참모장이란 뜻이다. 참모는 casaliac [kasalia, 카살리아]로서 제 4형의 변화를 따른다.
이 장면은 애니 4회에서 적의 정찰함대의 격파에 나선 아토스류아의 돌격대가 두번째로 기뢰공격을 받을때, 시공융합을 하지 말라는 명령을 받을 때이다. 한줄씩 살펴보자.
  • ïadbyrec acharr latoch [jadbyr aʃar latoʃ, 야드뷔ㄹ 아샤르 라토슈]
    돌격 분함대 라토슈. ïadburec이 분함대라는 뜻으로 ïadh ([jad, 야드] 가지)에 byrec (함대)가 붙어 생긴 단어. acharh는 돌격하는 자.
  • saubh acharr 1058 a [sɔv aʃar, 소브 아샤르 1058 a]
    돌격 전대(saubh). 1058 뒤의 a는 "제 1"의 의미. 즉, 1058 돌격전대 제 1대라는 뜻.
  • glaboth symr acharr 1 a [glaboθ symaʃar, 글라보스 슈므 아샤르 1 a]
    제 1 돌격(acharh) 대(symh)의 glaboth. glaboth의 뜻은 아직 알 수 없다.
  • loeté odonle [lœte odonl, 뤠테 오돈늘]
    loeté는 loete (경계하다) 라는 동사의 명령형. 명령형은 끝의 eé로 바꿈으로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odonleodonh (현상태) 의 보격으로 "현상태로" 라는 뜻.
garich bosm leupena frybarer [gariʃ bosm løpəna frybar, 가리쉬 보스므 뢰퍼나 프뤼바ㄹ]
진트의 개인실에 붙어있는 글귀이다. garich 는 궤도성관, bosm 은 가장 혹은 비록(부사), leupena 는 작은(형용사) 라는 뜻. 따라서, "제국의 가장 작은 궤도성관"이라는 의미. 부사와 형용사의 위치를 눈여겨 보자. bosm leupenagarich 를 꾸미는 말이다. 어순에 유의하지 않으면 "가장 작은 제국의 궤도성관"으로 해석하기 쉽다. 여기서는 의미가 확실하지만, 다른 문장에서 이런 구조를 만나면 자칫 혼동할 우려가 있으니 주의하자.
aséradé [aserade, 아세라데]. "열지마시오"라는 뜻. "열다"라는 동사 asére에 부정을 뜻하는 -ad 가 합쳐져서 asérade가 되고, 이것이 명령형으로 바뀌어 aséradé가 되었다. 진트가 종사장을 구하러 바스로일로 되돌아갔을 때 구명정이 이미 사용되었음을 확인하는 장면이다. 화면에는 단어가 다 잡히지 않았다.

 

이상으로 전기 1편 애니에 등장한 아브어를 살펴보았다. 등장하는 아브어의 난이도는 문장편이나 전기편 모두 비슷하다. 그러나, 내용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여기서는 문장편과는 달리 동사나 형용사, 그리고 좀더 복잡한 구조에 대해 중점을 두고 다루었다.

 

[Top]
Created: 2002.05.08 Updated: 2003.07.25

저작권 공지사항 (Copyright No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