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트의 독백
전기 2의 마지막 장면에서의 진트의 독백을 분석입니다. 이 자료는 독백 자체를 청취한
것을 바탕으로 분석한 것이므로, 기타 어떤 공식적인 자료와도 관계가 없습니다.
뜻이 명확하지 않다고 따로이 명시된 부분은 정확하지 않은 분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부분은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전기 2 의 진트의 독백 부분을 아래 링크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배경으로 깔리는
음악은 성계의 문장에서부터 소개되었던 "별들의 권족" 이라는 곡의 후반부입니다.
[진트의 독백 (mp3, 406KB)]
-
Ara, ara,
옅은, 옅은,
-
-
Daci dibhotr f'a bile gymel spasa.
잠 속에서 나는 여러가지 꿈을 꾸었다.
-
daci는 dach(중간, 가운데)의 여격으로
"중에" 라는 뜻. dibhotr는 dibhoth(잠)의
소유격으로써, 앞의 daci를 수식한다. f'a
는 fe a의 축약형으로써, "나는" 이라는 뜻. bile는 bie(보다)의 과거형. 동사의 과거형은
기본형에서 마지막 어미를 탈락시키고 -le를 붙여서 만든다.
gymel은 gymec(꿈)의 목적격. 여기서는
"꿈을" 이라는 뜻으로 앞의 bile의 목적어로 쓰였다. spasa는 "여러가지" 라는 뜻의 형용사로써 앞의 gymel을 수식한다. 아브어에서는 형용사가 꾸미는 대상의 뒤에
위치한다.
-
Airramh a lyneni sogle.
풍경은 항상 대지.
-
airramh는 "풍경"이라는 뜻으로 이 문장의 주어. lyneni는 "항상" 이라는 부사. 진트의 낭독에서는 [lyni] 라고 읽는
것처럼 들린다. sogle은 sogh의
보격으로써, 이 문장에서 생략된 동사 ane(이다) 의 보어로
쓰였다. 동사를 살린다면, a다음이나, 문장의 마지막에 ane를 넣으면 되겠다.
-
Sogh Martinr. sogh Dérctur. sogh Crasbyrr.
마틴의 대지, 데르크투의 대지, 크라스뷰르의 대지.
-
sogh는 혹성이라는 단어. nahainec이
유인행성을 뜻하는데 반해 sogh는 일반적인 행성이라는 뜻.
여기서는 행성의 대지 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sogle는 sogh의 보격. 앞의 문장과 연결해서 보면, 보어로 쓰인 것이
확실하다. 그런데, 애니에서 진트의 독백을 들어보면 마치 sogh라고 발음하는 듯 들린다.
-
Rorite, sogh f'a biurla domi flusarhote.
그리고, 영상으로밖에 보지 못한 대지.
-
biurla는 bie(보다)에 "...할 수 있다"는
뜻의 어간 -ur-가 추가된 후의 과거분사형. sogh biurla는 "본 대지" 라는 뜻이다.
domi는 "단지" 라는 뜻의 부사. 실제 독백에서의 발음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flusarhote의
원형은 flusarhoth(비춰지는 것, 즉 영상). 이 단어는
"비추다"는 뜻의 동사 fluse에 수동형 어간 -ar-가 첨가된 후, 명사화 접미사 -hoth가
연결된 모습.
-
Sogh zéadla raï flusarhoti.
영상에도 나타나지 않았던 대지.
-
zéadla의 원형은 zée(출현하다). 이것에 부정을 뜻하는 어간 -ad-가 붙어 zéade가 되고, 다시
과거형이 되면서 zéadle가 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다시
분사화하면서 zéadla가 되어 "출현하지 않았던" 이라는
뜻이 되었다.
raï는 "...까지", "...마저" 라는 뜻으로 명사나 형용사와
연결되어 사용된다. 여기서는 "영상으로까지", 혹은 "영상에서마저도" 라는 뜻.
-
Rorite, daci gymer far clafaré anle lyneni... dale,
그리고, 꿈 속에 나의 곁에는 항상 네가 있었다,
-
rorite는 "그리고" 라는 뜻의 접속사. daci
gymer는 "꿈 속에" 라는 뜻. gymer(꿈)의 원형은 gymec. 여기서는 daci를 꾸미는 소유격으로
쓰임. daci는 dach(중간, 가운데)의
여격. 따라서 직역하면 "꿈의 속에"라는 뜻.
anle는 ane(이다, 있다)의 과거형. lyneni는 "항상"이라는 뜻의 부사. 그리고 dale는 de(너)의 보격으로 anle의 보어로 쓰였다.
-
far fïale cfaina. (Onh!)
나의 사랑하는 전하. (바보!)
-
fïale은 fïac(전하) 의 보격.
cfaina는 "사랑스러운" 이라는 뜻의 형용사. fïale은 위의 dale의 동격으로
사용되었다. 즉, 정확한 해석은 "내 곁에 항상 있었던 것은 너, 사랑하는 나의
전하였다" 가 될 것이다.
다르게 분석해 볼 수도 있다. 이 문장이 라피르를 부르는 호칭의 형식으로
사용되었다면, fïale대신에 주격인 fïac가 사용되었을 것이다. 이 경우의 "나의 사랑하는 전하"
는 진트가 라피르를 바라보며 그녀의 이름을 부르는 의미일 것이다.
발음이 동일한 관계로 그냥 들어보아서는 이것이 fïale
인지 fïac인지 판단할 수 없다. 또, 일어가 우리말과
마찬가지로 주격과 보격의 형태가 같은 이유로, 애니의 일어자막의 번역으로도 판단할
수 없다. 개인적으로는 첫번째의 분석이 더 정확하다고 생각한다.
분석이 부족하거나 무리가 있었던 몇군데를 Disrronh님의 도움으로 수정하였습니다. 제 나레이션분석 코너의 기초가 된
나레이션 해독 페이지를 만드신 분입니다. Disrronh님의 분석과 설명은 게시판의 글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Top]
|
Created: 2002.06.16 |
Updated: 2003.07.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