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어 사전
여기 준비된 내용은 Sidrÿac님의
Dadh Baronr
아브어 사전을 번역한 것입니다. 본 사이트의 레이아웃에 맞추기위한 꼭 필요한
첨삭을 제외하고는 가능하면 원문의 내용을 그대로 옮기려고 노력했습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발음기호 표시를 첨가했습니다.
주:라고 표시된 부분은 한글번역 과정에서 첨가한
주석입니다. 그 이외의 각종 용례는 이하 Sidrÿac님의 설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사전 전체를 컴퓨터에 다운받고자 하시는 분은 메뉴의 맨 오른쪽 [전체보기]를 따라가 주십시오.
|
|
Change Log
- Ver 0.4 - 버그 수정. (2003.07.25)
- Ver 0.3 - 모든 발음기호가 그림화일에서 유니코드 IPA extension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003.07.20)
- Ver 0.2 - 첫 배포버전. (2003.07.10)
- Ver 0.1 - 시험 버전입니다. (2003.07.04)
이 사전에 관하여
-
이 사전의 내용은 보증할 수 없으며, 내용에 대한 책임은 편집자에 있습니다.
-
예시된 단어들은 모리오카 히로유키 님의 성계의 문장 등 성계시리즈 관련 문헌과
애니 등의 영상자료에서 수집한 것들로써, 일부는 비슷한 것들로부터 유추하여
복원하였습니다.
-
앞에 '*'를 표시한 단어는
- 문헌들에서 용례가 발견되지 않아 유추를 통해 구성한 단어
- 문헌의 용례에서 변화규칙이 확정되지 않은 단어
입니다.
- 아브어의 철자, 설명, 예문들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편집자에 의한 것으로써,
정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중요한 단어가 누락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견출어
- 아브어는 아스(Ath)를 사용해 로마자로 옮겼습니다.
변환규칙은 모리오카님의 "아브어 소묘(素描)"를 따랐습니다.
(주: 아브어 소묘는 "성계의 문장 독본"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 단어의 배열은 영문 알파벳의 표준 배열을 따랐습니다.
- 고유명사, 언어구성요소(접두,접미,동사접미사 포함) 등 명사, 동사의 변화형도
견출어에 넣었습니다.
- 같은 철자의 단어들은 대문자, 소문자, 언어구성요소의 순으로 하고, 엑센트나
우믈라우트가 있는 것은 그 다음에 배열합니다.
- 철자가 확정되지 않은 단어는 '*' 표시와 함께 임시 철자를 표기합니다.
- 자주 연결되어 사용되는 단어들은 연어와 함께 각각의 단어들도 표기합니다.
발음
- 아브어는 매우 규칙적이므로, 편의상 개개의 발음표기는 생략합니다.
단, 관용적으로 특수하게 발음되는 것들에는 설명을 추가합니다..
품사
- 동일한 단어가 복수의 품사를 갖는 경우는, 독립사에 속하는 품사를 먼저
배열합니다.(주:독립사는 명사, 동사 등과 같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를 말합니다. 독립사가 아닌 것에는 접두, 접미사 등이 있습니다.)
- 품사 표시는 독립사의 경우 【 】 안에, 언어구성요소와 접속사 등의
경우는 《 》 안에 적습니다.
- 품사명의 명칭은 기본적으로 "아브어 소묘"를 따릅니다.
- 연어는 독립사와 같이 취급합니다.
- 품사표시는 아래 표에 준합니다.
멍사 | 【명】 |
대명사 | 【대명】 |
동사 | 【동】 |
형용사 | 【형】 |
부사 | 【부】 |
감탄사 | 【감】 |
접속사 | 【접속】 |
후치사 | 【후】 |
연어 | 【연어】 |
동사접미사 | 《동사접미》 |
접두사 | 《접두》 |
접미사 | 《접미》 |
|
명사, 동사의 변화형
- 제 1형 명사의 경우, 그 변화형이 확정된 경우에는 소유격을 표시합니다.
- Abh
- 【명】 gen. Bar. → 주격 Abh. 소유격 Bar
- 동사의 변화형, 동사와 동사접미사의 복합형의 경우,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은
별도로 견출어로 분류하고, 그 직설부정형을 표시합니다.
어원
- 어원은 [ ] 안에 표기합니다.
- 고유일어에서 유래한 것은 "jp."로 표시하고, 그에 대한 카나(カナ)표기를 추가합니다.
카나표기는 케에츄우(契沖)방식을 따릅니다. (주: 케에츄우 방식이
어떤 것인지는 잘 모르겠군요. -_-;;)
- 고대어에서 직접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것은, 별도로 그에 대한 발음표기를 괄호안에
추가했습니다. 단, 유추가 가능한 경우는 전체를 표기하지 않습니다.
- 단어의 형태나 뜻과 연관되었다고 판단되거나, 그 직접 연관에 대한 의문이 있는 경우,
참조기호 ref. 를 표시하고, 독자의 참고를 요합니다.
- 복합어의 경우, 그 단어의 주요요소가 어두나 어미에 쓰였을 때,
화살표(↑ 혹은 ↓)로 표시하고, [ ] 내에 그 철자를 명기합니다.
[Top]
|
Created: 2003.07.04 |
Updated: 2003.07.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