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에 실린 문장들은 "성계의 문장 독본"에 실린 "아브어 회화 입문"에서 발췌했습니다.
이 코너는 seikai 의 독자적 분석에 따른 것이며, 원 저자 모리오카씨와 아무 관련이
없음을 밝힙니다.
-
D'ane ladi.
그런 셈이지요.
d'ane는 da와 ane의 축약형. ladi는 "옳게" 혹은 "바르게"
라는 뜻의 부사. 여기서는 동사 ane의 보어로 쓰였다. 이
문장을 직역하면 "당신이 옳습니다" 라는 뜻으로써, 주로 상대방의 의견에 동의를
표할 때 쓰인다.
-
R'a éna. Asogh a ane pasairle zasla ludorhote sose, rinoc arabre.
그거 잘됐군요. 그곳은 이제 영민모집소를 세우기 시작해서 아직 토지가 풍부하지요.
éna는 "좋은" 이라는 형용사. 하지만, 구조상 동사인
ane가 생략되었다고 볼 때, 아마 부사 éni가 옳을 가능성이 크다.
asogh는 "그곳", pasairle(pasairh)는 "시작" 혹은 "시작점", zasla(zase)는 "나오다" 혹은 "취급하다",
ludorhote(ludorhoth)는 "모집소", sose(sosh)는 "영민". 먼저 직역부터
살펴보면,
"영민의 (socr) 모집소를 (ludorhote)
취급하는 (zasla) 시작점에 (pasairle)
있다 (ane)"
라는 뜻. passairle는 보격으로 동사 ane의 보어. 곧 이은 분사구문이 passairle를 수식한다. zasla는 zase의 과거형 zasle가 분사화한 것. ludorhote는 zasla의 목적어. sose(목적격) 는 sosr(소유격)의 오기인
것으로 보인다. ludorhote sosr는 "영민모집소를"이라는 뜻.
rinoc은 "토지", arabre 는 "여유가 있다"라는 뜻의 동사. arabre가 arabra의 오기일 가능성도 있다.
-
D'ane ladi. F'ane senoerle ghocma caisrome.
그렇지요. 나는 경주마 사육에 생각이 있습니다.
f'ane는 fe a ane의 축약형. senoerle(senoerh)는 "흥미" 또는 "의향"
이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동사 ane의 보어. ghocma caisrome는 분사구문으로 "경주마를 사육하는" 이라는 뜻.
-
Inhoth ane caisromi a?
경주마 수요가 있나요?
inhoth는 "수요". caisromi(caisromh)는 ani의 보어. sa가 아니라 a로써 의문문을 만든 점에
유의하자. ane가 동사일 경우, 주어 다음에 a가 후치사로 들어가는데, 이 a를 문장
마지막으로 옮겨 의문문을 만들었다. sa로써 만든 의문문이
좀더 형식적인 의문문임에 비해, a를 문장 마지막에 옮겨 만든
의문문은 약식의 경우이다.
-
Aï. Nahainelacé bhoca caisromhoth ane seusecotle sommara.
예. 많은 지상세계에서 경마는 인기있는 경기이죠.
nahainelacé는 nahainlacé의 오기이거나 고어인 것으로 추정된다. 원형은
nahainlach로써, 제국국가에서 보았던 gereulach와 흡사하게 nahainec (지상세계)
에 복수화 접미사 lach가 붙어 만들어진 집합명사. 여기서는
향격으로 쓰였다. 일반 문법적으로 생각할 때, 여격 (nahainlaci) 가 더 적합해 보이지만, 아마도 일어의 영향 때문에
향격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bhoca는 "많은" 이라는 형용사. caisromhoth는 caisromh(경주마) 에 "..하는
것" 이라는 접미사 "hoth" 가 연결되어 "경마" 라는 명사가
되었다. sommara는 "각광받는", "인기있는" 이라는 형용사. 이
문장에서 주어는 caisromhoth이며, 보어구가 seusecotle(경기) sommara. 문두의 nahainlacé bhoca는 부사구이다.
-
Dha r'a ane lalycle hata zaine.
그러면 견실한 직업이겠군요.
lalycle(lalych)는 "생계수단", "직업"
이라는 뜻. 여기서는 ane의 보어로 쓰였다. hata는 "믿음직한", "견실한" 이라는 뜻.
-
D'anade ladi. R'ane lalycle sibonaita, ÿéni fe facrade
dainh üacre sal.
그런 것은 아닙니다. 생물을 취급하는 직업인지라,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죠.
d'anade는 de a anade의 축약형. anade는 ane에 부정을 뜻하는 어간 -ad-가 합쳐진 모습. 따라서 이 문장은 "당신은 옳지 않습니다"
라는 뜻.
sibonaita는 "생물을 다루는" 이라는 뜻의 형용사. ÿéni는 "...라서" 라는 뜻의 후치사. 문장을 나누는
쉽표가 ÿéni의 뒤에 위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저자의 착각인 듯하다.
facrade는 facre에 부정의 어간 -ad-가 합쳐진 것. dainh는 "무엇", "무슨
일". üacre는 "발생하다" 라는 뜻. facrade(알지 못하다) 의 목적어가 무엇일까? dainh가 목적격이 아니므로 facrade의
목적어가 될 수는 없다. 문맥을 보면, dainh üacre라는
문장 전체가 facrade의 목적어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위해
쓰인 것이 마지막의 sal이다. sal이
있음으로 해서, "무엇이 일어날지를" 이라는 목적어절을 형성하여 facrade의 목적어가 되었다.
-
Daurcod.
그렇겠군요.
-
Scorzé, zochar de dorle?
그런데, 당신은 어디서 승선했습니까?
zoch는 "어디" 라는 뜻. 여기서는 탈격으로 쓰여 (...로부터),
zochar가 되었다.
-
Fe dorle Laicerhyné Saisfarr, séd f'ane zéle Dreuhynr
Cneurauter.
세스파르 공국에서 탔습니다만, 출신은 크뇌로트 백국입니다.
zéle는 zéc(출신) 의
보격으로 ane의 보어로 쓰임. "나는 크뇌로트 백국
출신입니다" 라는 뜻이지만, 문맥을 고려해 위의 번역에서는 "출신은 크뇌로트
백국입니다" 로 제시했다.
-
Fe rirlér Laicerhyne Saisfarr, riradlér Dreuhynr Cneurauter.
세스파르 공국은 들어본 적이 있지만, 크뇌로트 백국은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rirlér의 원형은 rire. 여기서는
진행형으로 쓰였다. riradlér는 rire의 부정형 rirade의 진행형.
-
Gaumdacha. R'ane agtle lisa Faicer Crybr ÿéni.
무리도 아니죠. 크류브 왕국에 속한 작은 변방국이니까요.
agtle의 원형은 agth. 이 때 agth의 g는 [i]로 발음한다. 즉, agth 의 발음은 [aiθ, 아이스] 이다. 비슷한 예가 Basrogrh[basroiʀ, 바스로이르]이다. 어떤 경우에 g가 [i] 발음이 나는가는 아직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g가 몇몇 자음 앞에 선행할 때 경우에 따라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
Userélé ?
이민인가요?
-
Ghé, fe rumlér sor méné.
아닙니다. 난 이 배에서 살고 있습니다.
rumlér도 역시 진행형으로써, 원형은 rume이다. rume라는 동사는 제국 국가의
"F'a rume catmé gereulacr" 에서 이미 보았다.
-
D'a saucele datc.
선원이셨군요.
saucele의 원형은 saucec이다. datc 는
긍정을 강조하는 후치사인 것으로 추정된다.
-
Ghé. f'anade saucele. Fe loedame laibebonnisel. Nisele
"Gaudec Fimdeucer" suna.
아니오, 선원은 아닙니다. 식당을 운영합니다. "갈매기 정자" 라 불리는 점포죠.
loedame는 "운영하다", laibebonnisel(laibebonnisec)은 음식점.
nisele(nisec)는 점포. suna(sune)는 "하다" 라는 뜻의 동사. Gaudec Fimdeucer는 "갈매기의 정자" 라는 뜻. 마지막 문장은
"갈매기의 정자라고 하는 점포"라는 뜻. nisele가 보격인 것에
주의하자. 이 문장에서는 주어 뿐만 아니라 동사도 생략되어 있다. 문머리에 빠진
것은 "R'a ane" 이다. 즉, 원래는 "그것은 갈매기의 정자라고
하는 점포 입니다." 라는 문장이다.
-
Fe rirlér. R'a nisele zasa saréül ïati
ÿésa zaine.
들어봤습니다. 굉장히 맛있는 요리가 나오는 점포지요.
zasa(zase)는 "나오다" "취급하다" 라는
뜻. 19 행의 영민모집소의 설명에서 보았다. saréül(saréüc)은
"요리", ïati는 "매우", 혹은 "굉장히". ÿésa는 "맛있는" 이라는 뜻의 형용사.
이미 느꼈겠지만, 자주 등장하는 문장 형식과 구문은 불과 서너개에 지나지 않는다.
그 중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것이 (명사) + (분사형 동사) 의 모습이다. 여기서도
nisele zasa가 등장했다.
-
Néglo. Deri dïage islycecote biddac Gochtaür.
감사합니다. 고슈타우까지 가시는 동안 애용해 주십시오.
dïage는 "부탁합니다". islycecote(islycecoth)는 "애용". 이
문장의 주어는 fe로써, 여기서는 생략되어 있다. biddac의 뜻은 명확하지 않지만 아마 "여정"이라는 뜻의 명사인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biddac Gochtaür은
부사절이며, "...까지"라는 뜻이므로 biddagh(향격) 가
되었어야 할 것이다. 아마도 원문의 오기가 아닌가 한다.
-
Sannaze. Scorzé d'a senoerle üérada nahainegh ane sa?
그러죠. 그런데, 지상세계로는 옮기지 않을 생각인가요?
sannaze는 "반드시 ...하다"라는 뜻. üérada는 üére에
부정화 어간 -ad-가 붙은 후 분사화한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