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에 실린 문장들은 "성계의 문장 독본"에 실린 "아브어 회화 입문"에서 발췌했습니다.
이 코너는 seikai 의 독자적 분석에 따른 것이며, 원 저자 모리오카씨와 아무 관련이
없음을 밝힙니다.
-
Um, facrade fe gapi. Sicféc ane sa? Freubarec iri saice ubairecal
sacr laburer lorfaiceni loa fari boéade.
음, 역시 모르겠습니다. 효과가 있나요? 제국이 성계군종사 출신지를 특별히
배려한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는데요.
sicféc이 "효과"라는 뜻. saice는 "배려하다", ubairecal (ubairecac) 은 "출신지", lorfaiceni는
"특별히". boéade는 boée에 -ad-가 합쳐진 것. loa는 앞에 오는 문장을 이어 받아 "...이다는 것" 이라는 뜻.
따라서, loa는 soth와 비슷하지만, soth가 문장의 처음에 오고 동사가 분사화하는 반면, loa는 있는 문장 그대로를 이어받는다는 차이가 있다.
-
Saiméïc icarlér sote ana sicféc
영민정부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지요.
icarlér는 icare(주장하다)의
진행형. 이 문장을 sote(soth) 대신에
위에서 본 loa로 바꾸어쓰면, "Sicféc
ane loa saiméïc icarlér." 가 된다.
-
Sicféle zonna ane sa?
어떤 효과가 있다는 겁니까?
-
Enhotle scarr obi.
주로 돈을 번다는 거죠.
enhotle(enohth) 는 "획득" 이라는
단어. scarr(scarh) 는 제국에서
통용되는 화폐의 단위인데, 여기서는 그냥 돈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obi는 "주로" 라는 뜻.
-
Loraigee saiméïc gaisr sacr sa?
정부가 종사월급을 몰수하는 겁니까?
loraigee는 "몰수하다" 는 뜻. gaisr(gaish) 는 "월급"이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소유격으로 쓰였지만, 이것은 목적격 gaise의 오기로
보인다.
-
R'a dazïachotle. Saci darlar, farh rüélaimle ane goï.
그건 불가능하죠. 종사가 되면 우리는 제국국민이니까요.
dazïachotle는 da(반대, 없음) +
zïachoth(가능) 의 뜻. rüé는 "제국의" 의 의미를 갖는 접두어이다. 참고로
rüénéc은 "황녀", rüécoth는 "제국력" 이다.
Séd farh tosée scare sanslymi murrauter. Zé, farh
bause cérumhoti murrauter.
하지만, 우리는 고향의 은행에 예금을 하지요. 그래서 고향의 경제에 만족하고
있지요.
tosée는 "예금하다", sanslymi(sanslymh) 는 "은행", bause는 "풍부하게 하다" 혹은 "도움을 주다", cérumhoti(cérumhoth) 는
"경제".
-
Daurcod.
알겠습니다.
-
Soth toséna sanstymi murrauter blozél laima surér ane.
Fe bause murrauteri rugeni.
미래에 필요한 자금도 고향의 은행에 예금합니다. 난 고향을 부강하게 하고 있는
거죠.
처음 나온 단어는 surér(suriac,
미래) 뿐이지만 문장은 약간 까다롭다. 문장의 주어는 처음에 있는 soth이고, 동사는 맨 마지막의 ane이다.
soth를 꾸미는 구문이 toséna부터 ane의 바로 앞까지
전체이다. 따라서, "....예금하는 것입니다" 라는 것이 전체적인 해석이다. sanstymi murrauter가 부사구로써 toséna를 꾸미고 있고, 그 다음의 blozél이 toséna의
목적어이다. 그리고 laima surér가 blozél을 꾸미고 있다.
rugeni는 앞의 dhan, ro등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후치사.
-
De nége murrautel zaine.
고향을 사랑하시는군요.
nége는 "사랑하다" 라는 동사. négh는 명사로써 "사랑"이라는 뜻. frymec
negr가 "사랑의 딸" 이라는 뜻이다.
-
Aï.
예.
-
F'anade ro. Goï f'a usere. F'ane réfaiseni, saurh
loméme.
난 그렇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주하는 거구요. 가족만 같이라면 나는 상관없습니다.
réfaiseni는 "관계없이", saurh는 "가족" 이라는 뜻. loméme는
동사 lome(공존하다) 의 가정법.
-
Zo dar saurh rure sa?
가족은 뭘 하고 있습니까?
-
Gumrari cnac dore sor méni. Cnac aroblér zoccé
üasnac.
물론 이 배에 타고 있지요. 아마도 어디선가 놀고들 있겠죠.
aroblér(arobe) 는 "놀다" 혹은
"즐기다", üasnac는 "아마도". zoccé의 원형은 zoch로써, "어디"
라는 명사. zocé의 오기로 보인다.
Far ïomh razaimena lo frymelach a snaie sote gara far piccage
ÿéni, fe simee soti launerima ilumeni ciloeri.
아내와 딸들이 내가 피카쥬를 하는 것을 싫어해서 보통 혼자서 즐기지요.
ïomh는 "연인", razaimena는
"법률의" 라는 뜻으로 합쳐서 "합법적 연인", 즉 "배우자"를 가리킨다. 문장만으로는
아내인지 남편인지 알 수 없지만, 뒤에 나오는 대화를 고려해 아내로 번역했다. frymelach는 frymec(딸) + lach(들) 이 합쳐진 형태. frymlach라고
주로 쓴다. simee는 "결정하다", launerima(launerime) 는 "즐기다", ilumeni는 "보통" 혹은 "항상", ciloeri는
"혼자서".
Dacé gactr a, fe launerimuradle piccage.
집안에서는 피카쥬를 하지 않았죠.
gactr(gacth) 가 "집" 이라는 뜻. launerimuradle는 lauderime에 -ad-가 들어가서 과거가 된 형태. 이것을 왜 launerimadle라고 하지 않고, 불규칙한 변화를 했는지는 알 수
없다.
-
Butoca.
그것 참 큰일이군요.
-
Daizedar fe dairele rydeni, anade lori racod. Ïomh razaimena raï
anle socrceureni, baide ubara frymec casna.
익숙해져서 그렇게까지 불편하진 않습니다. 큰 딸이 태어나기 전까지는 아내가 좀
봐주기도 했지만 말입니다.
dairele의 원형은 dairee, 이것의
정확한 뜻은 rydeni의 뜻도 불분명한 관계로 파악하지 못했다.
아마도 dairee는 "적응하다" 라는 뜻이고, rydeni는 일종의 후치사가 아닐까 추정한다. lori는 "힘든", racod는 "그정도로". raï는 "..까지" 혹은 "...마저" 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socrceureni와 함께 "관대하기까지" 라는 뜻으로 쓰였다.
나타낸다. socrceureni는 "관대하게", baide는 "...때까지", ubara(ubare) 는 "탄생하다" 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