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에 실린 문장들은 "성계의 문장 독본"에 실린 "아브어 회화 입문"에서 발췌했습니다.
이 코너는 seikai 의 독자적 분석에 따른 것이며, 원 저자 모리오카씨와 아무 관련이
없음을 밝힙니다.
-
Ghé. F'ane senoerle sabaïa nisel nahainegh lyr cic sa.
Récno boré murrauter.
아닙니다. 언젠가는 지상세계에 점포를 구할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그것도 고향의
거리에.
sabaïa(sabaïe)는 "구하다"
lyr(lyc)는 "시점", cic는 "일시". lyr sic sa를 합쳐
"언젠가는" 이라는 일종의 숙어이다. 여기서 sa는 의문문을
만드는 sa가 아니다.
récno는 "그것도", "그 이상으로" 라는 뜻. boré(borh)는 "거리". murrauter(murrautec)는 "고향". boré는 위의 nahainegh와 마찬가지로
향격 (...으로). 여격을 사용하여 nahaineri와 bori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해 보인다. 역시 일어의 영향 때문인
듯.
Far murrautegh a déc rinor ane ïati laci.
내 고향에는 지가가 굉장히 높습니다.
murrautegh는 역시 향격. 여격을 사용하여 murrautri가 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laci는 "높이" 라는 부사로써, 여기서는 ane의 보어로 쓰였다. laca는 "높은" 이라는
형용사. 참고로 Gamh laca는 "높은 산" 이라는 뜻으로, 진트가
전 페브다슈 남작을 만났을 때 접했던 아브예술의 이름이다.
murrautegh다음의 a에 주목하자. a는 의미상 주격의 명사나 대명사에 주로 붙는 후치사이지만,
여기서는 주격이 아닌 여격 혹은 향격의 명사에 따라왔다. 이것은 일어나
우리말에서만 볼 수 있는 후치사의 활용법이다.
Zac f'ine blozé bhoca laimi bota nisel nihota. "Gaudec Fimdeucer"
ane crïagélé ronlaima.
그래서 쓸만한 점포를 얻는데 많은 자금이 필요하지요. "비둘기 정" 은 그것을 위한
것입니다.
f'ine는 fe ine(필요로 하다) 의
축약형. blozél(bloziac)은
"자금", bhoca는 "많은", laimi(laimh)는 "목적" 혹은 "수단", 그리고 nihota는 "뛰어난" 혹은 "빼어난", ronlaima는 "그런 의도의" 라는 뜻. ro (그)
+ laima(목적) 이 합쳐진 모습. crïagélé의 뜻은 명확하지 않다.
-
Dha daize de sabaïle nisel Méné sa? Synazén ane
nahainec cnérura nisel dablozéni dhan.
그런데 왜 성간선에 점포를 구했나요? 자금없이 점포를 열 수 있는 지상세계도
있을텐데요.
synazén은 "분명히", "필시" 라는 뜻의 부사. cnérura(cnérure)는
"가능하다" 혹은 "허가하다". dablozéni는 "자금없이"
로써, da(무) + blozéni(자금)
이 합쳐진 단어. 마지막의 dhan은 "...하지 않을까요" 라는
가벼운 주장의 의미를 문장에 더한다.
-
Daizedar f'a sacle Laburer anle botti, ane dasesaireni sote loedama nisel
méné goer a datima nahaineri nata.
그건 내가 원래 성계군 종사였기 때문에, 새로운 지상세계에 적응하는 것보다 배에서
점포를 운영하는 것이 더 맘에 듭니다.
socle(soch)는 "종사" laburer(laburec)은 "성계군". botti는 "원래", "과거에는" 의 뜻. dasesaireni는 "즐겁게", goer는 "...보다",
datima(datime)는 "적응하다", nata는 "새로운". sote loedama는 "운영하는
것" 이라는 뜻. goer다음의 a는 위에서
보았던 것처럼 goer의 후치사로써, "...는" 이라는 뜻. 없어도
관계는 없다.
-
Sacle d'anle ÿéni, cadasure barone locadi catoral.
종사였으니, 통역 없이도 아브어를 할 수 있겠군요.
cadasure는 "말하다", barone(baronh)는 "아브어", locadi는 "...없이",
catoral은 "기계통역" 을 각각 의미한다. ÿéni는 "...이기 때문에" 라는 뜻의 접속사.
-
Aï. Nïalérm catoral, thapérhoth badoebe gapi.
예. 기계통역은 아무래도 회화가 떨어지거든요.
nïalérm의 뜻은 분명하지 않지만 "...으로는"
이라는 뜻으로 보인다. thapérhoth는 회화, badoebe는 "늦다" 혹은 "지루하다" 라는 뜻. 그리고, gapi는 "결국" 의 의미.
-
Dha d'isle tlachoté zaine.
그럼 전쟁에도 참가했겠군요.
isle(ise)는 "가다" 라는 동사의
과거형. 제국국가 12 행에 등장하는 issae는 이 ise에 "상호간에" 의 의미가 더해진 단어.
-
Aï. Bottm f'alocle catrarél daci üicreurer rozaice
séd.
예. 그렇긴 해도 전함 내에서 자동조리기구를 담당했던 것뿐이있지만요.
bottm은 "그렇지만" 의 의미. alocle(aloce)은 "담당하다", catrarél(catrariac)은
"자동조리기계", ülcreurer(üicreurec)은 "전함", rozaice는
"...뿐".
-
Lüaghé ménh stymdar, dar idoch ane podaini zaine.
그렇지만 배가 폭산한다면, 생명이 위험하겠군요.
Lüaghé는 "그렇지만", stymdar(styme)는 "폭산하다", idoch는 "생명", 그리고 podaini(podainh)는 "위험". stymdar는 가정법으로
사용된 것으로, "만약 폭산한다면" 이라는 뜻이다.
-
Gumrari ro.
물론이죠.
ro(...이지요)는 지금까지 보아왔던 zaine(...이군요), dhan(...이지않습니까.)
등과 마찬가지로 문장의 뜻을 보조해주는 일종의 후치사.
-
F'andar, botaddar socrtace sacena idoce laimi Freubareri. Daze d'a dozme sa?
나라면, 제국을 위해서 목숨을 걸 생각은 없습니다만. 왜 지원했습니까?
andar는 ane의 가정법. botaddar는 bote(소유하다)에 반대의 의미
어간 -ad-가 붙어 botade가 된 후,
가정법을 적용한 것으로 "갖지 않을 것이다" 라는 뜻. socrtace(socratach)는 "의향", sacena(sacene)는 "도박하다" 의 의미. dozme는 "원하다" 의 뜻이지만, 보통 "성계군에 지원하다" 의
의미로 사용된다.
-
Daizedar fe ïarbarle.
차출되었으니까요.
ïarbarle(ïarbe)는
"선출하다" 라는 동사에 "..되다" 의 의미의 어간 -ar-가 붙은
후 과거형이 된 모습. ïarbare 자체로 "뽑히다" 라는 뜻.
-
Zaireri de ïarbarle sa?
누가 차출한 겁니까?
zaireri가 여격인 것에 주의. 여격은 보통 "...에" 의 뜻을
갖지만, 여기서처럼 "...에 의해" 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
Farer saiméïri sosr.
우리 영민정부가요.
saiméïri(saiméïc)는 "정부" 라는 뜻이지만, 주로 sosr와 연결해서 "영민정부" 라는 뜻으로만 사용되고, 일반 국가의
정부를 지칭하는 데 쓰이지는 않는다. 윗 행과 마찬가지로 여격이 사용되었다.
-
Daize saiméïc?
영민정부가 왜?
-
Laimi lanota daci Freubarer, saiméïc sosr a simelér sote
üaucra sace simesauza loessoti labureri.
제국 안에서의 지위를 보호하기 위해 영민정부는 매년 일정수의 종사를 성계군에
파견하는 것을 결정했습니다.
lanote는 "보호하다" 라는 의미이지만, 여기에서처럼 "지위를
유지하다" 라는 의미도 있다. simelér(simee)는 "결정하다", üaucra(üaucre)는 "파견하다" simesauza는
"정해진 수의", loessoti는 "매년".
동사가 진행형으로 쓰인 첫 경우이다. simelér는 simee에 진행형 접미사 lér가 붙은
것.
Soth solaïa ïarbhoti a loer fari ane seloemecotle sézaca
buca Nahainer Saictaicr Dreuhynr Cneurauter.
차출을 이행하는 것은 우리들에게 있어서 크뇌로트 백국의 세크테슈 행성에 주어진
지고한 의무입니다.
solaïa(solaïe)는
"수행하다", seloemecotle(seloemecoth)는 "의무", sézaca는
"숭고한" "가치있는" 이라는 뜻. ïarbhoti(ïarbhoth)는 위의 "뽑히다" 라는 동사 ïarbe에 "...하는 것" 이라는 명사화 접미사 -hoth가 붙은 것. loer fari는 "우리들에게
있어서" 라는 뜻. buca의 의미는 확실하지 않다.
문두의 soth가 주어부를 이끌고 있으며, ane부터가 서술부이다. 따라서 a는 soth에 대한 후치사이다. loer fari는
주어부의 구조와 관계없이 삽입된 것으로 문장 첫머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